50세 이상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조기 진단과 정확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황반은 눈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망막의 중심을 가리킵니다.
시력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물체를 정확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황반에 여러 변화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정상안
황반변성
60세 이상인 경우
주로 발병
고령의
흡연자인 경우
여성일 경우
발병률이 증가
정상 혈압보다
고혈압인 경우
항산화제와 루테인
섭취가 부족할 경우
한쪽에 발병한 환자의
42%는 양안 발병
가족 중 황반변성
환자가 있는 경우
고도근시인
경우
황반변성 원인
주로 노인에게 나타나며 당뇨와 함께 노인성 실명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황반변성이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성되어 질병 진행으로 이어지는데 그 원인은 노화, 고열량 식습관, 스트레스, 고혈압, 비만,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심혈관계 질환, 가족력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 증상
병증이 진행될수록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건물 등의 선이 물결치듯 굽어 보이는 변형시를 경험하게 되며 이후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지 않아 글자의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 부분이 지워진 듯 보이지 않게 됩니다. 특히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 먼저 발병한 경우에는 반대쪽 눈을 사용해 이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음으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안과를 찾아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암슬러 격자를 이용한
진행여부 진단
정상일 경우
황반변성 질환자일 경우
진단결과
선이 물결 모양으로 휘어져 보이거나, 중심의 둥근 점이 잘 보이지 않거나, 선의 중간 부분이 끊어져 보이거나, 한 부분이 뿌옇거나 찌그러져 보인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즉시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항체를 눈 속에 직접 주사함으로써 망막 시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불필요한 신생혈관을 퇴행 시킵니다.
시력유지 및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효과가 4~6주 정도 지속되므로 반복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사치료 후에는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항생제를 사용하며 일정기간 검진받아야 합니다.
미국 FDA 임상실험 결과, 치료받은 환자의 약 30~40%에서 시력회복 효과가 나타났으며
95%에서 시력유지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루센티스)
주사치료 간격
주사치료는 보통 1개월 간격으로 3회 정도 시행합니다.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었더라도 약효가 줄어들면서 다시 시력이 저하될 수 있어 눈 상태에 따라 다시 주사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황반변성은 한 번의 치료로 완치되는 질환이 아니라 꾸준한 주사 치료와 정기검진을 통해 시력이 떨어지지 않게 관리해야 합니다.
주사치료 주의사항
첫째, 치료 전 아스피린 계통 약과 혈전용해제를 복용하는 분, 고혈압이나 다른 전신질환이 있는 분들은 사전에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상의를 해야 합니다.
둘째, 치료 후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은 횟수와 시간을 반드시 지켜 복용해야 합니다.
셋째, 치료 후 눈에 심한 충혈이나 통증이 생길 경우,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합니다. 드물지만 2차 감염이나 안압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